Skip to main content

Posts

NexTel 이 울린다

금요일 밤 10시 10분, 한 주를 마감하고 쉬고 있는데 불청객이 울어댄다. NexTel 전화기로 메세지가 들어온다 - NexTel 은 상대와 무전호출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 미국의 셀룰러폰 서비스사 이름이다. 트레이딩 데스크의 오늘 마감 프로그램이 하나는 저녁 7시, 또 다른 하나는 저녁 8시에 돌아가는데... 무슨 영문인지 저녁 8시에 첫번째로 돌아가는 프로세스가 response 가 없어 2시간째 헛돌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문제가 생기면 시스템이 바로 나에게 이렇게 메세지를 보내니 NexTel 은 영락없이 족쇄인 셈이다. 자동으로 돌아가게 스케쥴 해두었던 모든 프로세스를 정지시키고, 회사 유닉스 서버로 들어가 메뉴얼로 하나 하나 돌리도록 바꾸어 두고 이제 하나 둘 프로그램들을 돌리고 있는 중이다.  아내는 모처럼만에 남편과 한국 비데오를 보며 쉬려 한다며 좋아했는데, 다시 컴퓨터 앞에 앉은 나를 보고는 자야겠다며 눕더니 벌써 꿈나라이다.  하루 하루 갈수록 배가 커지고, 이제는 손을 올려놓고 가만히 있으면 18주째 된 아기가 움직이는것이 느껴진다.  7년전 딸 아이 가졌을때도 그랬지만, 지금 와서 똑같은 일을 반복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왠지 못했던 공부를 다시금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건, 그 만큼 아내에게 첫 아이때는 못했었나 하는 미안함도 든다. 20분 전에 마감, end-of-day process 를 시작했으니 2시간은 넘게 걸린텐데... 이야기 할 사람도 곁에서 그만 잠이 들어버리고... 이 NexTel 이라는 것이 휴가를 갈때도 챙겨야 하고 거기에 BlackBerry (이메일을 수신하고 보낼 수 있는 Device) 까지 함께 허리에 차고 다니니, 마음 편히 휴가도 갔다 오지 못하는 신세가 되어가는 것 같다. 너무 편하게 모든것을 바꾸어 버린 컴퓨터와 그외 통신 장비들이지만, 그로 인해 우리 사람들이 좀 더 편히 쉬려고 했는데... 때로는 그것으로 우리가 구속이 되어버리는 것을 발견...

아빠 brother 도 괜찮아

아내의 임신이 14주째가 되던 때에 산부인과에서 초음파를 하며 boy 라고 의사 선생님께서 말씀하실 때에 딸 아이가 옆에 있다가 듣고는 한 말... '아빠 boy 도 괜찮아!' 내심 딸 아이와 아내는 또 딸 아이를 원했었다. 나 또한 아들 딸 구별없이 딸 아이의 좋은 친구이자 동생이 되었음 하는 바램으로 그리 원했었는데... 아들이라는 이야기를 듣곤 만 6살인 딸 아이는 아빠를 보며 이내 현실에 적응해 버린다. 그리곤 아내의 얼굴에서 이상스럽게 웃음이 맴 돌았다. 그래, 아내도 아들을 속으로는 원했었나 보다. 장남이기에 그런 생각을 했었나? 난 아무렇지도 않았는데, 아내는 이제 막 마흔이 되는 나이에 늦동이를 아들이 원했나 보다. 미국 생활을 하다보면 나이를 묻는 사람이 없어 나이를 잊고 사는데, 의사 선생님께서 노산이라 말씀하시곤 나이를 보시더니 다시금 우리 얼굴을 쳐다 본다.   잔나비 띠이면..... 그래 이제 마흔줄에 다 왔구나. 아내와 난 그날로 다시금 우리의 나이를 돼새기며 씩 웃었다. 사실, 딸 아이를 위해 또 다른 여 동생을 만들어 주고 싶었는데... 이번에는 하늘에서 사내아이를 선물해 주신것이다.  아버지도 늦게나마 손주를 보신다니 기분이 좋으시다 말씀하시는데, 정말 좋아하실 분이 우리에게는 지금 안계시는데... 하늘에 계신 우리 장모님 참 많이 좋아하셨을거라 우리 부부는 믿는다.

불룩해진 아내의 배

이제 조금 있으면 한국 나이로 마흔이 될 우리이기에, 요즘 친구들과 지인들을 만나면 아내 걱정부터 하며 인사를 한다. 작년 말 전으로 아이를 가져야겠다 생각하고 계획했는데, 첫 딸아이를 가졌을때 1년간 노력한 생각을 하며 계획을 했는데... 하늘에서 귀한 선물이라 전해주셨는지 벌써 14주째가 되어간다. 얼마전 부터 더욱 불룩해진 아내의 배를 보고는, 딸 아이는 좋아라 부둥켜안고 동생이 그 안에서 듣는다 이런저런 자기만의 소리를 해 댄다. 아직 어린 아이라 그럴까... 처음엔 여동생이었음 좋겠다 기도하더니만, 얼마전부터는 남자 동생이었음 좋겠다 이내 생각이 바뀌었는데. 생각이 바뀐 이유인즉, 딸 아이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인 '하나 몬태나' 에서도 남자 동생이라고 그저 따라하고 싶은 모양이다. 한국 나이로 7살, 초등학교 1학년 아이로 이제 8월이면 자기도 동생이 생긴다 흥얼거리며 다니는 모습이 귀엽고 보기좋다. 만나는 사람들 중에는, 은퇴는 이제 못하겠구나... 더 많이 벌어야겠어... 좋은 시절 다 갔네... 라며 걱정스런(?) 아니 짓굳은 인사들을 건네지만. 그래도 나와 아내는 즐겁고 기쁘게 아이를 맞이하려 준비하고 있다. 새로운 생명에 대한 감사는, 우리 부부에게 평생의 기도 주제가 될 것이다.

스크립 언어의 재발견

예전에 Trading Desk 에서 사용하는 시스템들은 모두 Java 또는 C/C++ 가 아니면 거들떠 보지도 않았었던게 사실이나, 지금은 그런 생각이 없어진지 오래이다.  초창기 한국에 나가 작업을 했을때면 모두들 묻는 질문이 '이거 어떤 언어로 만들어 진 트레이딩 시스템이죠?' 이었는데, 그땐 내 자신도 사용하는 언어가 꽤나 큰 작용을 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밑 바탕이 된 언어가 무엇이냐에 따라 그만큼 어플리케이션에 주어지는 Credit 도 많았을 뿐 아니라, 사용할 증권사 입장에서도 마음을 놓으며 구매할 수 있는 입장이었기에 말이다. 그게 벌써 1997년, 10년전 일이 되었다. 이후로 월가에서 4년을 RiskMetrics Group 에서 일하면서, 조금씩 이러한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유는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디자인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가 아니라,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end user 입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기능을 마음껏 interface 할 수 있느냐로 바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사내에서 대표했던 위험관리 시스템들은 제각가 사용하는 언어와 플랫폼이 다르기 마련이었다.  포트롤리오 위험관리 시스템의 경우는 Java 와 Delphi, 그리고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SQL 서버로, Credit Risk Management 시스템의 경우는 Java 와 Oracle, Pension Risk Management 의 경우는 Delphi 와 SQL 서버로 팀별로 최상의 솔류션을 제공하려 애썼다.  물론 이런 제품들은 모두 1년에 두번 또는 한번씩 Upgrade 와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 Package 화된 제품들이었기에 이런 상황이었다. 그 이후로 지금의 회사로 Asset Management 옮겨 Fixed Income 트레이딩 데스크에서 일을 하다보니, 이와는 또 다른 상황을 접하게 되었다.  매일같이 하루 하루...

한 해를 잘 마무리하려

하루라도 일 생각없이 편하게 잠이 들 수가 있을까?... 라는 바람을 농담식으로 건네며 늘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 퇴근을 한다. 우리 팀의 고참이자 보스는 대만계 미국인으로, 나와 같은 동양인이라 일하는 스타일도 그리고 생각도 늘 흡사하여 함께 일하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  그리고 또 한명의 동료는 프랑스계 미국인으로, 함께 일하면서 느끼는건 '그래, 이래서 유럽인인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미국 본토에서 자란 미국인과는 분명 다른 무언가가 느껴진다.  불어 액ㅤㅅㅔㅌ트가 섞인 영어 표현도 그렇고... 우리팀은 Asset Management 팀으로, 회사내의 포트폴리오 시스템과 딜링시스템 그리고 위험관리 시스템등 Asset Management Division 의 모든 시스템을 support 하고 개발하는 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물론, 늘 느끼는 것이지만 일에 비해 팀원이 너무 적다는게 문제이기는 하지만.  아래로 두명의 컨설턴트를 두고 일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리소스에 업무량이 과다하다. 뉴욕 본사의 트레이딩 데스크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쉽게 접근이 가능하지만, 내가 맡은 영국 지사의 Fixed Income 쪽은 5시간의 시간차가 나기에 사실 쉽게 support 하는게 어렵다.  그래서 늘 이른 아침과 늦은 밤까지 소프트웨어 시스템 확인하고 모니터링하고 하다보면, 거의 잠 자는 시간을 빼고는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 오늘은 무슨 일이 있을까? 라는 생각으로 아침 출근을 하고 퇴근을 하게 되는데, 이제 이렇게 고민하고 걱정하며 출퇴근하는게 습관이 되고 일의 일부분이 되어 간다. 11월 중순으로 잡힌 또 다른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오픈이 순조롭게 끝나 2006년을 잘 마무리하고 싶은데,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이곳에 남긴다.

런던에 와 보니

뉴욕과 뉴저지에 산지 벌써 87년 부터이니 20년이 되어가는데, 이곳 영국 런던에 처음 와보니 미국과 다른게 있다면 은행과 증권사가 모여있는 곳이라해도 고층건물들이 거의 없는것 같다. 지금 묵고있는 Liverpool street 의 Great Eastern Hotel 주변만 봐도 오피스 빌딩이 많지만, 뉴욕처럼 고층건물은 보이질 않는다.  하지만 퇴근길 길거리에 즐비한 맥주바를 보면서 뉴욕과 다른 느낌을 많이 받는다.  이렇게 나와 서서 마시는 곳은 그리 흔하지 않기에, 퇴근 후 한 두잔씩 마시며 이야기 나누는 영국인들을 보고 있자니 뉴욕의 월스트릿의 분위기와는 조금 다른듯 하다. 출장 첫날 사고가 터져 한바탕 트레이딩 데스크에서 큰 일을 치루고는 금요일 아침까지는 그럭저럭 조용히 넘어가고 있다.  다음 금요일까지 준비하고 처리해야 할 일들이 쌓여 있지만, 큰 일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하나 둘 끝마치고 다시 뉴욕으로 돌아갈 수 있을것 같다. 이틀 전에는 뉴저지에서 네덜런드로 그리고 이곳 런던으로 회사때문에 옮겨온 형님과 즐겁게 만나 인사를 나누었는데, 예전과 변함없고 늘 그대로 한결같은 형님이라 보기 좋았다.  어렸을때 캐나다로 이민온 교포로, 늘 열심히 일하며 가정에 충실한 형님을 뵈면 나 또한 마음가짐을 다시하게 되니... 바에 앉아 맥주를 나누며 이런저런 좋은 조언 많이 해주셔 고마왔고, 회사에서 런던 출장이 잦을것 같다면 이를 좋은 기회로 삼아 발전의 기회로 삼으라는 말도 잊지 않고 해 주셨다. 아직 30대 후반, 마흔은 되지 않은 나이이기에... 미국생활 하며 나이를 생각지 않고 사는게 흔한 일이 되어버렸기에... 아직도 내가 하는 분야에서 한창 때이고 젊다고 생각하며 마음을 다시 잡아 먹는다. 오늘 저녁에는 보고싶던 아내와 딸 아이기 뉴저지에서 날아온다. 딸 아이는 아빠보러 런던에 오는것도 모르고 지금은 한참 자고 있겠지만, 아침에 일어나면 부랴부랴 준비하고 옷입을 아내를 보며 덩달아 신나 할 ...

24/7

24 / 7 일하면서 팀 멤버들간에 우스개소리로 하는 24 hours 7 days a week 이라는 말, 뉴욕과 런던의 트레이딩 데스크를 커버하다 보니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 저녁먹는 시간과 가족들과 잠시 휴식을 취하는 시간 외에는 Nextel 과 Blackberry 로 족쇄가 채워져 있다해도 심한 말은 아닐듯 싶다.  이른 아침부터 퇴근까지 개발하랴 모니터링하랴 그리고 서포트하랴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가고, 집에 와 잠시라도 쉴라하면 이내 피곤해 잠이 들어버리지만, 그것도 잠시 이른 새벽 런던시간에 맞춰 전화라도 들어오면 다시금 일어나 상황봐가면 출근을 해야하니... 분명 24시간 일주일 내내 일하는것과 같다해도 과장된 말은 아닐듯 싶다. 월요일 아침 런던에 도착했다.  공항에서 긴 줄에 입국수속을 마치고 이내 택시를 잡아타 회사로 향하는데, 떠나올때 미국 달러대비 영국 파운드가 비싸다는건 매일같이 보고 있지만 이렇게 직접 감을 잡아보니 쉽게 지갑에서 돈이 나오질 않는다.  Liverpool street 까지 공항에서 출근시간의 극심한 교통혼잡으로 1시간 20여분이 지난 후 도착하니 미터기는 벌써 68 파운드란다.  뉴욕에서라면 거의 140불에 가까운 금액인데, 출장경비라 다행이지 여행으로 왔다면 뉴욕에 비해 택시요금이 거리에 비해 두배 이상인듯 한 느낌이 다가온다. 런던지사로는 처음 방문이라, 트레이딩 데스크 사람들과 직접 얼굴을 보며 처음 인사하고 그동안 전화로만 했을때 그렸던 이미지와 순식간에 비교도 해 보았다.  도착과 함께 책상에 쌓인것은 런던에 있을 2주동안 해결해야 할 이슈들이다.  철저하게 annual budget 에 따라 움직이는 미국회사들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할까, 개개인들의 1년 연봉과 보너스등은 물론 한해동안 해 온 일들과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되지만 그래도 예전에 일해보았던 한국회사에 비해서 더 일이 많은게 사실이다. 수요일 새벽 4시, 아직 5시간의 뉴욕과의 시간차...